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3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panning Tree Protocol, STP)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Looping을 방지시켜주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바로 STP(Spanning Tree Protocol)이다. 현재는 RSTP(Rapid STP)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convergence time을 제외한 기본 골격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STP의 동작 방식에 우선 간략히 정리해보자 한다. 설명에 사용할 topology는 아래와 같다. Layer 2 Switching Looping Layer 3에서는 IP Packet 내부에 있는 TTL을 이용해 Looping을 방지할 수 있지만 Layer 2에서는 그러한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switch는 언제나 unknown unicast, multicast, 그리고 broadcast .. 2021. 10. 15.
eero Pro 6 설치 집 주인이 되고나서 스스로 이런저런 일들을 스스로 해보게 되는데 나름 스마트 홈을 구성해 보기 위해서 구성한 인프라 (Infrastructure)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Mesh network란? mesh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Wi-Fi를 서비스하는 노드끼리 그물망처럼 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 (topology)이다. 장점을 보면 안정적인 Wi-Fi 속도 제공 로밍 서비스 위와 같이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우선, 단일 AP를 통해서 Wi-Fi를 이용할 때 가장 큰 단점은 AP와 내가 사용하는 장치의 거리가 멀어질 수록 속도가 보장되지 않는 점이다. 그래서 AP와 Extender를 함께 구성해서 사용하는데 인터넷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AP와 Extender는 서로 다른 SSID를 사용한다. 따라서.. 2021. 10. 2.
진짜로 이사를 끝내다 2021년 9월 16일 closing을 한 시점부터 조금씩 조금씩 이삿짐을 옮기기 시작했으니 딱 11일이 걸렸다. 텅텅비운 아파트 그리고 move out form을 leasing office에서 작성하고 나오니 이제는 정말 집 주인이 된 기분이 든다. 과거 회상을 해보면 Oakmont의 집을 계약하기 바로 직전에 아파트 lease를 연장했어야 했다. 6개월이면 집을 찾지 않겠어라는 생각이 있었지만 덜컥 8개월 집을 연장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우리는 뭔가에 홀린듯 8개월을 계약 연장을 감행했다. 6개월도 아니고 7개월도 아닌 8개월. 마음속 깊은 곳에 우리 둘은 적어도 8개월은 아파트 생활 후 새 집으로 이사하지 않겠느냐 하는 생각이 잠재적으로 존재했는지도 모르겠다. 결과만 놓고보면 한 달만 month-.. 2021. 9. 28.
Homeowner가 되다 2021년 9월 16일부로 아파트 rent 생활을 벗어나 드디어 homeowner가 되었다. 이사 비용도 아낄려고 정말 무거운 가구와 냉장고를 제외한 나머지 짐들은 셀프로 이사를 했다. 이사를 하면서 느낀건 우리 네 가족 살림이 이렇게 많았구나 하는 것이다. 여전히 몸 이곳 저곳이 아프고 나흘동안 쉬지 못해 피곤하지만 homeowner라는 새로운 타이틀의 감동과 새로운 삶의 chapter를 열었다는 행복함과 감사함이 더 크게 느껴진다. 집을 구매해야지라는 마음을 먹기까지 그리고 마음을 먹고 나서도 정말 많은 고민이 있었다. 실제로는 작년 11월 말 Amariah Park 라는 커뮤니티에 가격적, 집 자체 spec으로도 (엄밀히 new construction이기에 우리가 원하는데로 디자인 가능) 마음에 드.. 2021.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