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pf3 OSPF Virtual Link란? OSPF를 처음 공부하고 난 후 가장 먼저 기억하게 되는 개념은 OSPF의 모든 areas는 backbone area (area 0)와 연결되어야 한다라는 부분이다. 하지만 virtual link라는 기술을 이용하면 non-backbone area를 통해서 backbone area와 직접 연결할 수 없더라도 OSPF로 서로의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Virtual link를 구성하는 영역을 transit area로 불리고 이 area는 full-routing table을 갖고 있어야 한다. 서론에서 설명한 것 처럼 Area 2는 Area 0와 직접 연결된 area가 아니기 때문에 virtual link를 사용해서 설정해야 한다. 간단하게 어떻게 virtual link가 동작하는지 정리해보자. 처음 설.. 2021. 3. 31. OSPF 정리 #2 10. Adjacencies Neighbor를 맺은 후 database를 교환하는 과정을 adjacency라고 한다. 쉽게 router의 수가 많아질 수록 상호 router간 교환해야 하는 정보가 많아지기 때문에 DR/BDR (Designated Router, Backup Designated Router) 선출을 한다. DR은 각 router 간 정보를 교환하는 central point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O(n * n)에서 O(n)으로 정보교환 횟수는 줄어들게 된다. 1. DR Election - DR/BDR의 선출은 Hello Packet을 교환으로 시작한다. 높은 priority를 갖는 router가 DR이 되고 동일한 과정이 BDR 선출에도 반복된다. 물론, 동일한 priority가 생길.. 2021. 3. 16. OSPF 정리 #1 1. Introduction OSPF는 Open Shortest Path First의 약자로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이고 Link-state routing protocol이다. OSPF는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와 비교되는데 RIP의 단점을 몇 가지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RIP는 15개 hop이 최대이다. 따라서, 15개 홉 이상이면 unreachable로 간주된다. 2. RIP는 OSPF와 다르게 VLSM (Variable Length Subnet Masks)을 처리할 수 없다. 3. 주기적으로 full-routing table을 브로드캐스팅 하는 자체는 network의 사이즈에 비례한 오버헤드가 된다. 4. 수렴속도가 늦다.. 2021. 3.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