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텍스트 변환2

TextFSM을 사용한 네트워크 장비 출력 파싱 #2 앞선 TextFSM의 포스팅 (TextFSM 포스팅 #1)에서는 TextFSM이란 무엇이고 가장 기본적인 CLI 출력 구문에 대한 예제까지 설명했다. 이번에는 조금더 다양한 예제 두 가지를 다뤄보고자 한다. Filldown 예제  TextFSM을 사용하다보면 Filldown 기능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쉽게 말해 이전 행의 값을 현재 행에 자동으로 채워 넣는 기능이다. 즉, 반복적인 데이터 구조를 다룰 때 유용하다. 1) Parsing을 하고자 하는 텍스트Timestamp Hostname Status2023-05-01 12:00:00 Device1 UP Interface0/1 DOWN .. 2024. 5. 27.
TextFSM을 사용한 네트워크 장비 출력 파싱 #1 오늘은 네트워크 엔지니어링과 자동화에 많이 사용되는 강력한 텍스트 파싱 도구인 TextFSM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한다. TextFSM은 텍스트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로 변환할 때 유용한 도구로, 특히 네트워크 장비의 명령어 출력 결과를 파싱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TextFSM이란?  TextFSM은 Google에서 개발한 Python 라이브러리로, 텍스트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네트워크 장비의 CLI (Command Line Interface) 출력 결과를 파싱하는 데 사용되며, 텍스트 템플릿을 사용하여 정규식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태로 추출한다. 설치방법 pip install textfsm Cisco 라우터/스위치의 Interface parsing  우선.. 2024. 5. 27.
반응형